[앵커]
지역 농.축협들이 인천의 초대형 어시장 건물을 담보로 거액을 대출했다가 이 건물이 5년째 유령 상가로 방치돼 줄줄이 손실 위기에 있다는 소식, 며칠전 단독 보도해 드렸는데요.
이는 빙산의 일각의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취재진이 확인해 보니 부동산 개발에 주로 대출한 지역 조합들의 외지 공동대출이 2020년 이후 2천6백억 원을 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남효주 보도의 단독 보돕니다.
[기자]
대구·경북 8개 농.축협이 인천 지역 시행사에 185억 원을 빌려주면서 담보로 잡았던 인천국제수산물타운,
2020년 사용 승인이 났지만, 바닷물이 공급되지 않는 등 부실 공사 탓에 이른바 '유령 상가'로 5년째 방치되고 있습니다.
대출금 회수가 막막한 상황인데 이는 현지 사정에 어두운 지역 조합이 감정 평가에 의존해 돈을 빌려주고 상권과 부동산 경기 분석에 실패한 결과라는 지적입니다.
['인천 수산물타운 대출' 지역 농협 관계자 "먼저 서면 상으로 보는 것이 기업 회계, 재산목록이라든지 재무제표, 또 중요한 것은 그 물건의 감정금액. 이런 게 중요하기 때문에 그런 걸 보고 (투자를 결정합니다.)"]
결국 돈을 빌려준 조합들이 해당 대출금에 대해 줄줄이 손실 처리에 나서고 있지만 누구 하나 제대로 책임지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런데 수산물타운 부실 대출은 빙산의 일각입니다.
취재진이 부동산 관련 대출을 주종으로 하는 대구 경북 관외 공동대출 현황을 확인해 보니 2020년 이후 2,650억 원에 달했습니다.
대구는 2020년 80억 원에 불과하던 공동대출이 2022년 221억 원으로 정점을 찍었고,
경북은 2020년 20억 원에서 21년과 22년 670여억 원으로 30배 넘게 급증했습니다.
전체 대출금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대구는 2023년 최고치를 기록했고 경북도 2020년 1.19%에서 이듬해 11.89%로 열 배 가까이 뛰었습니다.
지역 조합들이 고수익을 노리고 부동산 대출 시장에 뛰어든 결과입니다.
하지만 지난해 초부터 부동산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공동대출 관련 연체가 시작됐고, 대구.경북의 연체율이 전국 최고 수준입니다.
전문가들은 지역 농.축협들이 지역 밀착형 서민 금융이라는 본래 정체성을 잃어버린 대가를 톡톡히 치르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정정현/ 창원대 글로벌비즈니스학부 교수 "소규모이고 농촌에 소재하고 있어서 조합원들 신용 분석을 잘하는 지역 농협들은 오히려 전통적인 업무에 더 집중하는 게 좋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국회에서는 농협중앙회가 지역 조합들에 대한 공동대출 심사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농협중앙회가 지역 조합의 부실 채권이 급증하자 지난해 뒤늦게 사전 검토 제도를 도입했지만, 적용 기준이 100억 원 이상 대출로 지나치게 높고 부동산 건설업에 한정해 부실 대출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란 겁니다.
[임미애/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개별 단위 조합에서 큰 규모의 대출을 심사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전문성이 굉장히 떨어집니다. 다른 업종에 대한 이해가 없는 상황에서 대출을 해줘야 되는 경우에는 보다 엄격한 사전 심사가 필요합니다."'
농민의 안정적 농업 활동을 위해 설립된 농.축협,
무리한 부동산 대출이 부실로 이어지면서 조합원들의 피땀으로 모은 자본금까지 위협받고 있습니다.
TBC 남효주입니다. (영상취재 김도윤 CG 최성언)
■ 제보하기
▷ 전화 : 053-760-2000 / 010-9700-5656
▷ 이메일 : tbcjebo@tbc.co.kr
▷ 뉴스홈페이지 : www.t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