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구시가 추진 중인 도시철도 4호선 차량 운행 방식을 철제차륜인 AGT에서 3호선 방식인
모노레일로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재정 여건 등을 감안해 AGT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겠다는 건데, 지역 정치권과 시민단체는 여전히 재검토를 요구하며 맞서고 있습니다.
김용우 기자입니다.
[기자]
수성구민운동장과 이시아폴리스를 잇는 대구 도시철도 4호선,
왕복 4차로 한가운데 높이 10미터가 넘는 기둥을 세우고, 폭 8미터 정도 크기의 상판 위로 경전철을 운행한다는 계획이 알려지면서 일조권 침해와 환경 훼손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기존 3호선과 같은 모노레일 방식으로 건설할 수 있는데도 충분한 검토 없이 상판 위에 철로를 얹는 AGT 방식을 고수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자 대구시가 해명에 나섰습니다.
무엇보다 3호선 모노레일 제작사인 일본 히타치가 철도안전법 개정에 따른 차량 형식승인 절차를 면제해달라고 요구했지만 국토교통부와 협의 결과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3호선과 동일한 차량 기준으로 납품하고, 기술을 공급하며 하청업체로 참여하겠다는
히타치사의 요구도 법적, 계약 구조상의 문제로 인해 받아들일 수 없었다는 게 대구시의 입장입니다.
[허준석/대구시 교통국장 "지금 4호선에는 당연히 의무화되는 사항이라 적용해야 하는데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만든 제도라서 (형식승인) 면제하는 것은 법 취지와 맞지도 않고 국토부와 협의 결과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반면 4호선 구간을 지역구로 둔 국민의힘 우재준 의원은 철도안전 규정은 조정이 가능한데도 대구시가 제대로 검토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도시 경관을 해치며 일조권을 침해하는 AGT방식에 대한 재검토뿐 아니라 도심 구간 지하화를 포함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 우재준/국민의힘 의원(대구 북구갑) "통용되는 기준을 만들어야 되는데 기존 제작사 입장에서는 국내에 모노레일 만드는 업체가 없다 보니까 이런 걸 잘 몰랐던 것 같아요. 그래서 그건 충분히 조정 가능한 영역이에요."]
시민단체도 반대 의견을 무시한 채 대구시가 사업을 밀어붙이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 김중진/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대표] "재산권 문제점도 있으니까 향후 인구감소에 따른 4호선에 대한 백지화나 대중교통 정책을 전면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4호선을 지화화하면 사업비가 1조 원 이상 늘고, 자칫 사업이 무산될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국내 기술로 형식승인을 마친 AGT방식을 최적화해서 조기 개통에 힘쓰겠다고 밝혔지만 4호선 차량 운행 방식을 둘러싼 논란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입니다.
TBC 김용우입니다. (영상취재 김남용)
■ 제보하기
▷ 전화 : 053-760-2000 / 010-9700-5656
▷ 이메일 : tbcjebo@tbc.co.kr
▷ 뉴스홈페이지 : www.t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