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포항의 대표적 숙원 사업인 영일만대교 건설 사업이 또 한 번 위기를 맞았습니다.
10년 넘게 지지부진하다 올해 정부 예산에 사업비가 반영돼 본궤도에 오를 걸로 기대됐는데 애써 반영한 예산이 이번 정부 2차 추경안에서 전액 삭감돼 버렸습니다.
노선 확정이 늦어져 올해 예산을 못 쓸 수 있다는 이유입니다.
박철희 기자가 자세한 내용 전해드립니다.
[기자]
한반도의 동쪽 끝 호미반도가 만든 포항 영일만.
이곳을 가로질러 포항 남구 동해면에서 북구 흥해읍까지 육상과 해상 18킬로미터를 연결하는 게 영일만대교 건설사업입니다.
강원도 고성에서 부산 해운대까지 국토 동쪽을 종단하도록 계획된 남북 10축 고속도로의 한 구간이기도 합니다.
포스코와 철강, 블루밸리, 영일만 3개 산단을 한꺼번에 연결해 물류비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포항 도심 정체도 해소할 것으로 보이면서 기획재정부 적정성 검토에서는 지역경제 파급 효과가 5조 8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지난 2008년 광역경제권 발전 선도프로젝트로 선정돼 예비타당성 조사가 면제됐지만 17년 동안 공전을 거듭하다 올해 정부 예산에 1,821억 원이 반영됐습니다.
연내 설계가 시작돼 본궤도에 오를 걸로 기대를 모았지만, 이번 정부 2차 추경안에서 사업비 전액이 삭감됐습니다.
노선 확정이 늦어져 올해 예산을 못 쓸 수 있다는 이유인데 민생 예산을 늘리고 SOC 예산을 줄이는 추경 편성 방침에 따라 부산 가덕도 신공항 예산과 함께 사업비가 깎인 겁니다.
지역 국회의원들은 이재명 대통령이 영일만대교 적극 추진을 공약해 놓고 당선 20일 만에 이를 철회했다며 강하게 반발합니다.
[김정재 / 국민의힘 국회의원(포항 북구) ”사업 연도 전반기가 마무리되기도 전에 ‘불용 가능성’을 핑계로 예산 삭감을 감행한 것은, 이재명 정부 스스로 영일만대교 건설사업에 대한 의지 박약을 천명한 것에 불과합니다.“]
노선 확정이 늦어진 건 해저터널과 교량에 인공섬까지 계획하면서 예상 사업비가 급증한 탓입니다.
타당성 조사 결과 총사업비가 당초보다 6천억 원 많은 4조 원으로 추산되면서 국토부가 현재 사업비가 덜 드는 대안 노선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형산강변 쪽으로 우회해 해상 교량 구간을 대폭 줄이는 구상으로 알려졌는데 포항시는 도심 한가운데 고속도로를 만드는 건 수용하기 힘들다는 입장입니다.
[이강덕 / 포항시장 (24일, 포항시의회) ”(국토부 검토 노선은) 연약 지반에다 포스코도 반대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거든요. 도심에 그렇게 가는 게 쉽지 않아요, 강가로 해서. 그러한 것을 불과 돈을 얼마 절약하겠다고 저렇게 가는 처사...“ ]
포항시는 인공섬을 만드는 대신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 사업 부지 일부를 활용해 사업비 5천 1백억 원을 절감하는 대안도 국토부에 제시했다고 밝혔습니다.
오랜 세월 지지부진했던 영일만대교 사업, 가까스로 본궤도에 오르는 듯했지만 노선 확정 지연과 예산 삭감 위기 속에 다시 안갯속으로 빠져들고 있습니다.
TBC 박철희입니다.(영상취재 이상호 CG 김세윤)
■ 제보하기
▷ 전화 : 053-760-2000 / 010-9700-5656
▷ 이메일 : tbcjebo@tbc.co.kr
▷ 뉴스홈페이지 : www.t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