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경북 산불 피해 지역 주민들이 국회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고 조속한 특별법 재정과 실질적인 지원 대책을 촉구했습니다.
여야 정치권도 산불 피해 특별법 재정을 통한 피해 지원 대책 마련에 이견이 없는 만큼 이번주 국회 산불 피해 특별법 심의 과정에서 얼마나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할지 주목됩니다.
현경아 기자의 보돕니다.
[기자]
[현장 싱크]
"원상복구 쟁취하자!"
"쟁취하자, 쟁취하자!"
무더운 날씨에도 경북 산불 피해 지역주민들이 국회 앞에 모여 특별법 제정을 촉구했습니다.
지역민들은 현재 지급되는 재난 보상금은 막대한 피해 수습에 턱없이 부족하다며 특별법 제정을 통해 현실적인 보상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호소했습니다.
전파된 주택의 경우 정부 지원 보상금 한도를 최대 9천 6백만 원까지 늘렸지만 실제 주택 신축에 소요되는 비용에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정항우 / 경상북도 산불피해대책위원회 상임위원장 “피해 주민들의 보상이나, 모든 부분의 현실을 감당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주민들이)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현실적 희망이 바로 이 국회가 통과시켜야 할 산불 피해 특별법입니다.”]
특히 전소된 주택 세입자와 소상공인이나 농공단지에 입주한 소규모 기업체 등은 피해 지원 대상에 빠져 있어 대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국회 산불피해대책위원회 소속 지역 의원들은 특별법을 통한 지원에 여야 이견이 없는 만큼, 법안 심사과정에서 사각지대 해소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습니다.
[임미애 /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산불특위) “최대한 사각지대 없이 보장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가를 논의하기 위해 회의가 조금 길어질 여지는 있습니다. 저희가 빠른 시간 내에 법안이 통과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기후 변화로 피해 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는 만큼, 앞으로 발생할 산불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 체계 마련과 제도 정비도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임종득 / 국민의힘 국회의원(산불특위) “기후 변화에 의해서 우리가 새로운 차원에서 대비하지 않는다면 이와 같은 재난이 반복적으로 일어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특별법을 제정해서 법적. 제도적 정비가 이뤄져야 한다.”]
국회 산불특위는 새 정부 출범이후 이번주에(3일) 사실상 처음으로 특벌법안을 본격 심의할 예정이어서 결과가 주목됩니다.
TBC 현경아입니다. (영상취재 현경아)
■ 제보하기
▷ 전화 : 053-760-2000 / 010-9700-5656
▷ 이메일 : tbcjebo@tbc.co.kr
▷ 뉴스홈페이지 : www.t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