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구 달성군 가창면에 있는 채석장이 이국적인 풍경으로 입소문을 타면서 이른바 '핫플레이스'로 떠올랐습니다.
그런데, 채석장 사업자에게 원상복구 명령이 내려져 세월이 만들어낸 명소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는데요.
달성군이 이곳을 사들여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박가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에메랄드빛 호수, 깎아지른 절벽.
이국적인 풍경을 자랑하는 이곳은 10년 전 문을 닫은 대구 달성군 가창면의 채석장입니다.
최근 SNS상에 '한국의 모레인 호수'로 입소문을 타기 시작하면서, 평일에도 방문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장수빈, 김영민/안동시 용상동, 대구시 현풍읍 "SNS 같은 거 보다가 사진이 되게 예쁘게 나와 있어서 쉬는 날 겸사겸사 해서 왔는데." "너무 이쁜 것 같아요."]
[이근효/대구시 신암동 "시누이가 여기 소문나서 희한한 데 있다고 해서 와보니까 정말로 대구에 이런 데가 있었나. 깜짝 놀랐어요. 물빛이 이렇게 깊고 고울 수가 있나. 이렇게 이쁠 수가 있나."]
문제는 높아지는 안전사고 위험입니다.
호수의 수심은 무려 29미터.
사면의 안전성도 검증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하지만 사유지인 탓에 지자체가 함부로 나설 수도 없습니다.
"갑자기 하루에 수백 명이 넘는 인파가 몰라면서 안전 우려가 커지자, 최근에는 이렇게 접근을 막을 수 있는 철조망과 구호 물품까지 설치됐습니다. "
현재 해당 채석장은 허가 기간이 만료돼 원상복구 명령까지 내려져 있습니다.
수십억 원을 들여 호수를 모두 메워야 하는 겁니다.
[강정구/00채석장 부사장 "물을 다 빼고 여기다가 흙을 다 채워 넣어야 합니다. 비용도 많고 현실적으로 하기도 어려운 상태입니다. 지금."]
달성군은 해당 부지의 안전성 검증이 끝나는 대로 소유자와의 협의를 통해 채석장 일대를 사들여 관광 자원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입니다.
[박주형/달성군 산림정책팀장 "일단 사유지기 때문에 활용 방안을 소유자가 결정을 해야 될 문제지만, 법적으로 허용이 된다면 명소가 될 수 있도록"]
세월이 빚어낸 절경으로 방문객들을 매료시키고 있는 가창 채석장, 존속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의 새로운 명소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TBC 박가영입니다.(영상취재 김남용)
■ 제보하기
▷ 전화 : 053-760-2000 / 010-9700-5656
▷ 이메일 : tbcjebo@tbc.co.kr
▷ 뉴스홈페이지 : www.tbc.co.kr